
목차
SQLite는 경량화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저장에 많이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SQLite의 기본 명령어를 실습할 수 있는 다양한 예제를 소개하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을 통해 SQLite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히고, 실무에서의 활용도를 높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SQLite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파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SQLite는 빠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은 규모의 데이터베이스를 필요로 하는 개인 프로젝트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SQLite의 기본 명령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테이블을 만들며, 데이터를 추가하고 조회하는 과정 등을 실습해 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SQLite의 사용법을 쉽고 명확하게 체득할 수 있을 것입니다.
SQLite 설치 및 설정
SQLit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치가 필요합니다. SQLite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설치 후, SQLite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기본 명령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SQLite 다운로드: 공식 웹사이트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SQLite CLI 실행: 설치 후, 명령 프롬프트 또는 터미널에서 `sqlite3` 명령어를 입력하여 CLI를 실행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SQLite를 사용하려면 먼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야 합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테이블은 서로 관련된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간단합니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sqlite3 mydatabase.db
명령어를 입력하여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생성합니다.-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성공적으로 생성하면, SQLite CLI가 실행됩니다.
테이블 생성하기
데이터베이스가 준비되었다면, 이제 테이블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테이블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각 테이블은 행과 열로 구성되며,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간단한 테이블 생성 예제입니다.
다음 SQL 명령어를 사용하여 'users'라는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CREATE TABLE users (
id INTEGER PRIMARY KEY,
name TEXT NOT NULL,
age INTEGER
);
이 명령어는 'id', 'name', 'age'의 세 개의 열을 가진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id'는 기본 키로 설정되어 있어 각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추가하기
테이블을 생성한 후에는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추가하는 명령어는 INSERT
입니다. 아래의 예제를 통해 'users' 테이블에 사용자 데이터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INSERT INTO users (name, age) VALUES ('Alice', 30);
INSERT INTO users (name, age) VALUES ('Bob', 25);
이 명령어들은 'users' 테이블에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추가합니다.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 번에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 조회하기
추가한 데이터를 조회하려면 SELEC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명령어를 통해 테이블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데이터 조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ELECT * FROM users;
이 명령어는 'users' 테이블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특정 조건을 추가하여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 수정하기
기존 데이터를 수정하려면 UPDA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명령어를 통해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나이를 업데이트하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PDATE users SET age = 31 WHERE name = 'Alice';
이 명령어는 'Alice'의 나이를 31로 변경합니다. 조건을 사용하지 않으면 모든 데이터가 수정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데이터 삭제하기
더 이상 필요 없는 데이터를 삭제하려면 DELE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아래 예제는 'Bob'이라는 사용자의 정보를 삭제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DELETE FROM users WHERE name = 'Bob';
이 명령어는 'name'이 'Bob'인 사용자의 데이터를 테이블에서 삭제합니다.
FAQ
SQLite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SQLite는 가볍고, 설치가 간편하며, 서버가 필요 없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개발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SQLite와 다른 DBMS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SQLite는 파일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다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과는 달리 서버 프로세스가 필요 없습니다. 따라서 배포와 관리가 간편하며,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결론
SQLite의 기본 명령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테이블을 만들며, 데이터를 추가하고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기본 명령어는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실무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SQLite는 경량화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SQLite의 기초를 익히고,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앞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복잡한 작업을 위해 다양한 SQL 명령어를 익히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면 합니다. SQLite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세계로 한 걸음 더 나아가 보세요. 여러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술이 한층 더 발전하길 바랍니다.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 구현 - 머신러닝의 기초 (0) | 2025.05.07 |
---|---|
실무에서 활용되는 로지스틱 회귀: 데이터 분석의 필수 도구 (0) | 2025.05.07 |
정보처리기사 실기에서의 분석 파트: 전략적 학습법 (0) | 2025.05.07 |
Jupyter Notebook 사용법 입문 - 데이터 분석의 첫걸음 (0) | 2025.05.07 |
파이썬으로 SQL 연동하기 – 데이터베이스 자동화 쉽게 하기 (0) | 2025.05.07 |
이상치 탐지 기법과 시각화: 데이터 분석의 새로운 패러다임 (0) | 2025.05.07 |
결측값 처리 방법과 전략 비교: 데이터 분석의 필수 요소 (0) | 2025.05.07 |
CSV 데이터 전처리 실습 정리 - 데이터 정리와 자동화 (0) | 2025.05.07 |